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식중독 증상 치료법과 예방법 총 정리

by 건강봇 2022. 10. 23.
반응형

식중독-증상

3분만 시간을 내시면,
1. 식중독 증상을 알 수 있습니다. 
2. 식중독에 걸렸을 경우 치료 방법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3. 식중독 예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식중독은 여름철에 주로 발생하지만, 날이 선선해지는 계절에도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세균성 감염에 의한 식중독이 대부분의 원인이라고는 하나, 청결을 준수하지 못했을 때도 식중독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식중독 증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1. 식중독 증상

  • 식중독의 팔 할은 살모넬라균, 이질균 등의 원인
  • 포도상구균 24시간 잠복기, 두통, 구토
  • 살모넬라균 72시간 잠복기, 설사, 열복통
  • 비브리오패혈증 12~48시간 잠복기, 수포, 패혈증, 고열

식중독은 원인별로 증상이 다릅니다. 보통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많은데요. 살모넬라균, 이질균, 장염비브리오 등이 그 원인이 됩니다. 중금속(수은, 납) 혹은 복어와 조개 같은 어패류, 버섯, 화학조미료 등에 의해 식중독이 발생하기도 하니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은 24시간의 잠복기 이후 심한 구토나 두통, 어지럼증 등이 발생합니다. 살모넬라균에 의한 감염은 6~72시간의 잠복기 이후 설사와 열, 복통이 발생합니다. 비브리오패혈증은 12~48시간의 잠복기 이후 다리에 출혈을 동반한 물집이 나타나고 패혈증이나 고열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쉽게 말해 소화기 증상과 전신 증상, 두 가지 양상이 혼재되어 발생하는 것입니다.

 

 

2. 식중독 치료

  • 끓인 물이나 설탕, 소금을 탄 물로 손실된 영양소 보충
  • 과일즙, 진한 녹차를 피하고 가벼운 미음이나 쌀죽 섭취
  • 고열, 혈변과 같은 증상은 항생제 추천

식중독으로 고생할 때는 음식 대신 충분한 수분을 보충해야 합니다. 단순히 끓인 물도 좋지만, 구토나 설사로 인해 수분이 부족하므로 포도당이나 이온 음료, 설탕, 소금 등을 타서 전해질 등 손실된 영양소를 함께 보충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사나 구토가 멎으면 가벼운 미음이나 쌀죽 등 기름기가 없고 담백한 음식 위주로 섭취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과일즙이나 진한 녹차 등의 음식은 위장에 자극이 되므로 피해 주셔야 합니다.

만약 위장과 관련된 설사, 복통 등이 아니라 고열, 혈변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항생제를 적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항생제는 노로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중독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므로 약물의 오남용을 막기 위해 꼭 전문의와 상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3. 식중독 대처법

  • 식중독 3대 예방 원칙 숙지(손 씻기, 음식 익혀 먹기, 물 끓여 먹기)
  • 조리 시 청결 주의(상처 치료 후 조리, 4도 이하의 차가운 곳, 가열은 60도 이상 등)
  • 무분별한 지사제 복용 자제

한국의료재단에서는 식중독 예방의 3대 원칙을 손을 씻기, 음식 익혀 먹기, 물 끓여 먹기라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식중독을 예방하는 첫걸음은 신선한 식재료를 안전하게 조리하고 보관하는 것입니다. 세균의 번식은 섭씨 40~60도에서 활발해집니다. 따라서 저장은 4도 이하의 차가운 곳, 가열은 60도 이상 해야 합니다. 또한, 손에 상처가 있다면 적절한 조처를 한 다음 조리에 임합니다. 손의 상처를 타고 세균의 감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무분별한 지사제 복용은 삼가야 합니다. 위장에 있는 독소가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빠져나갈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분 공급과 함께 전문의와의 상의로 불필요한 약물 처방으로 인한 부작용과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물설사 원인 3가지를 알아보자

갑자기 물설사가 나오게 되면 언제 어디서 배가 아플지 몰라 불안하고 화장실 갈 때마다 쾌변이 안되어 찝찝함이 느껴질 것입니다.평상시 보는 변과 비교하였을 때 보다 더 무른 상태에 하루에

health-bot.tistory.com

 

노로바이러스 증상,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노로바이러스는 식중독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균 종류 중 하나입니다. 겨울에 비해 여름에 식중독이 가장 많이 발생하곤 하나, 노로바이러스 균은 영하의 낮은 온도에서도 생존이 가능해 겨울철

health-bot.tistory.com

 

식중독 살모넬라균 가열하면 없어질까?

날이 더운 여름이 되면 식중독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됩니다. 살모넬라균은 이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병관리청에서 살모넬라균 감염증 환자 신고가 늘어남에 따라 이

health-bot.tistory.com

 

 

 


 

 

아래 배너를 클릭하고 SNS에서 건강봇을 만나보세요! 

반응형